소리사주 소개 역학이란?

소리사주

바로가기 메뉴

역학이란

역학의 정의
주역(周易) 또는 역점(易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삼경(三經)의 하나로 음양의 이치로서 주위의 변 화되는 모습을 설명하고 있는 주역(周易)에서 유래되었다.

「주역의 의」를 보면, 주역(周易)에서의 역(易)이란 바꾸다, 고치다, 바뀐 다의 뜻으로 음양의 조화 속에서 만물의 이치가 생긴다는 말처럼 주역(周易)이라는 학문 또한 그 이치를 먼저 깨달아 길함을 잘 다스릴 줄 알고 또 흉함을 잘 다스려 피해 나가기 위해 이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인간의 길흉화복」은 그 사람 사람마다 다르지만 이에 대처하는 처세술만은 모두가 다 똑같을 것이다. 그리고 주역이라는 학문을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음양(陰陽)의 조화로움을 강조하듯이 우리가 살아가면서 어떠한 상황 상황에 마주하더라도 그 상황을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학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역은 점을 보는점술가 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주역의 구성은 8괘(八卦)와 그것을 합한 64괘 (六十四卦), 길함과 흉함을 서술한 괘사 (卦辭),설명한 효사(爻辭)로 구성이 되어져있으며, 전문점술가들은 이를 바탕으로 길함과 흉함을 점치는 것이다. 이미지

「점괘를 통하여」사람들은 판단을 할 것이다. 이것이 지금 현재 자신의 처지에 맞는지 아니면 그른지에 대해서 말이다. 비록 그 점괘가 어떻든 사람들이 취하는 행동은 각각 다를 것이다.

「점괘를 통하여」사람들은 판단을 할 것이다. 이것이 지금 현재 자신의 처지에 맞는지 아니면 그른지에 대해서 말이다. 비록 그 점괘가 어떻든 사람들이 취하는 행동은 각각 다를 것이다.왜냐하면 이 점괘에 대한 믿음이 얼마만큼 이냐 하는 문제인데 그것은 사람들 개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역학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길함과 흉함을 알고 이에 대한 충분한 대처로 만족을 하며 살아갈 것이며, 단지 재미로만 보는 사람이라면 역학이라는 학문자체를 잘 모르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요즘은 주역(周易), 즉 역학 (易學)이라는 학문은 단지 사람들의 재미나 호기심이 아닌 학문으로서 자리를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음양(陰陽)의 조화로움과 건곤(乾坤)의 균형으로 우리의 삶을 영위해 나아가듯이 주역 (周易)이라는 학문 또한 우리의 삶에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역학의 유래

「역이란」 수천년전 문자가 없었던 상고시대(약 5천여년 전)에 당시 천하를 다스리던 복시씨라는 성인이 하수에 나타난 용마의 등에 있는 55개의 점 즉 하도를 보고 우주만물의 생성이치를 깨달아 음효와 양효라는 부호로 팔괘를 그어 천지인 삼재의 이치를 나타낸 것을 말하고,

「역경이란」 복희씨에 이어 약 2천여년 후에 문왕이 64괘의 차례를 다시 정하고 괘사를 붙인 후 문왕의 아들인 주공이 각 괘의 384효 하나하나에 설명을 붙인 효사를 합하여 "주역경문"이라 높여서 부른것이며,

「주역은」주나라 초기에 역학이 하나의 책으로 형태를 갖추고 학문으로서의 체계도 대부분 완성된 역경 (易經)이 비로소 주역(周易)이라 불려져 오늘날에 이르게 된것으로 추측한다. 춘추전국 시대에는 공자와 같은 성인이 출현하여 '위편삼절' 즉 가죽끈이 세 번씩 이나 끊어질 정도로 주역을 읽었다고 하니 얼마나 주역 을 열심히 연구 했는지를 알 수 있다. 공자는 십익(十翼)을 붙여 주역을 완성했다고 전해지고있다.

「이 역학은 다시」 천재 기재의 손으로 넘어가 이론적으로 세밀하고 깊이 있게 발전한다. 춘추전국 시대의 낙녹자, 귀곡자 등이 역학을 연구하여 상당히 정밀한 부분

까지 연구를 했고 한 나라 시대 동중서, 엄평군, 제갈량 등에서 당 나라 시대의 원천강, 일행선사에 이어 현재의 일간(日干) 중심의 사주이론을 만들어 체계화시킨 송 나라시대의 자평 선생이 연해자평을 저술함으로써 사주학이 완성되었고,또 명 나라 시대에는 만유보와 명리정종을 지은 장남이 대를 이었고 청 나라 시대의 유백온,임철조의 적천수등의 학문을 현재 우리가 이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사주학은 수천년 동 안에 발전을 거듭하면서 이학문의 정통성과 시대 상황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및 인간 운명에 대한 적중률은상당히 높은 것이다. 가치가 있는학문이기 때문인 것이다.
만약 이 사주학이 황당무계하고 미신 같은 학문이었다면 지금까지 계승되지 않고 중도에서 이미 오래 전에 없어졌을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의 손에서 읽혀지고 연구되고 있는 것은 그래도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필요하고 가치가 있는 학문이기 때문인것이다.

여기에서 역이라 함은 사서삼경(四書三經-대학,중용,논어,맹자,시경,서경,역경) 가운데 하나인 역경인 주역을 말한다.

[출처] http://yuci.gazio.com

역학의 유래|작성자 여사님 http://blog.naver.com/chakyoungok/20019523450